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야구 용어 '노히트노런'과 퍼펙트게임 차이 완벽정리 (2025년 최신 기준)

by 우공이해 2025. 4. 17.
반응형

야구 용어 노히트노런이란? 2025년에도 주목받는 완봉의 전설

야구 팬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노히트노런’과 ‘퍼펙트게임’. 하지만 정확한 의미와 차이점을 아는 사람은 의외로 적어요. 이 글에서는 노히트노런의 정의와 퍼펙트게임의 차이, 그리고 실제 사례까지 쉽게 풀어드릴게요 😊

 

 

노히트노런이란?

노히트노런(No-Hit No-Run)은 상대 팀에게 단 한 개의 안타도 허용하지 않고, 실점도 없는 경기를 뜻해요. 단, 볼넷이나 실책 등으로 타자가 출루할 수는 있어요.

즉, 투수가 경기를 모두 던지면서 한 명도 안타를 치지 못하게 막은 것이 핵심이에요.

 

퍼펙트게임이란?

퍼펙트게임(Perfect Game)은 단 한 명의 타자도 출루시키지 않은 경기를 말해요. 안타는 물론 볼넷, 실책, 몸에 맞는 공까지 모두 없다는 뜻이에요.

쉽게 말해, 퍼펙트게임은 노히트노런보다 더 어려운 기록이에요 💡

 

노히트노런 vs 퍼펙트게임

구분 노히트노런 퍼펙트게임
안타 허용 ❌ 없음 ❌ 없음
볼넷/실책 출루 ⭕ 가능 ❌ 불가능
출루자 수 0명 이상 0명

✅ 퍼펙트게임은 노히트노런을 포함하는 상위 개념이에요!

 

실제 사례로 보는 명장면

한국 프로야구(KBO)에서는 지금까지 노히트노런이 14회, 퍼펙트게임은 0회 기록되었어요. 그만큼 퍼펙트게임은 전설로 남을 정도로 어려운 기록이죠.

순서
이름
소속팀
일자
상대팀
구장
결과
포수
기록
비고
1
1984년 5월 5일
5:0
6탈삼진, 3사사구
KBO 리그 최초
2
1986년 6월 5일
더블헤더 1차전
8:0
5탈삼진, 4사사구
해외파 최초[12]
더블헤더[13]
3
1988년 4월 2일
4:0
3사사구[15]
KBO 리그 유일한 개막전 기록
KBO 리그 유일한 무탈삼진 기록
최소 투구수(99개)
4
1988년 4월 17일
해태 타이거즈
무등 야구장
1:0
5탈삼진, 2실책[16]
무사사구
5
해태
1989년 7월 6일
10:0
9탈삼진, 3사사구
 
6
1990년 8월 8일
롯데
사직
8:0
4탈삼진, 3사사구
신인 최초
7
1993년 4월 30일
OB
전주
3:0
6탈삼진, 1사사구
최연소(20세 9개월 25일)
8
1993년 9월 9일
쌍방울
잠실
9:0
4탈삼진, 3사사구
 
9
1997년 5월 23일
OB
대전
8:0
8탈삼진
낫아웃 출루로 퍼펙트 무산
10
2000년 5월 18일
해태
무등
6:0
6탈삼진, 3사사구
좌완투수 유일무이[17]
최고령(34세 3개월 2일)
11
2014년 6월 24일
LG
잠실
6:0
7탈삼진, 3사사구
외국인 선수 최초
12
2015년 4월 9일
1:0
8탈삼진, 3사사구
13
2016년 6월 30일
NC
4:0
9탈삼진, 4사사구
최다 투구수(139개)
14
2019년 4월 21일
한화
대전
16:0
13탈삼진, 2사사구
최다 탈삼진
최다 득점지원
 

마무리 요약

노히트노런과 퍼펙트게임은 모두 투수의 위대한 업적이에요. 하지만 둘은 출루 여부에 따라 구분되며, 퍼펙트게임이 더 완벽한 기록이죠.

야구를 조금 더 깊게 알고 싶다면, 이런 용어부터 차근차근 알아가보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