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코아스템켐온 3상 결과 분석] 하위군 효과 확인! 주가 반등 가능할까?

by 우공이해 2025. 4. 25.
반응형

[코아스템켐온 3상 결과 분석] 하위군 효과 확인! 주가 반등 가능할까?

 

 

💡 기업 개요와 임상 이슈 요약

코아스템켐온은 줄기세포 기반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 기업으로, CMO기업 켐온을 자회사로 두고 있는 바이오 기업입니다. 핵심 파이프라인은 루게릭병(ALS) 치료제인 ‘뉴로나타-알주’이며, 2024년 글로벌 3상 톱라인 결과 발표 당시 1차 평가 변수 미충족으로 주가는 급락했고, 현재까지 신저가 부근을 유지 중입니다. 오늘(2025.04.25 CSR Top Line이 발표되었습니다.

 

📊 2025년 CSR 결과 정리 (2025년 04월 25일 기준)

  • 총 대상자: 89명 (글로벌 다국가 임상)
  • 1차 평가 변수: ALSFRS-R 점수 변화
  • 결과: 전체군에서는 통계적 유의성 미충족 (p≥0.05)
  • 하위군 분석: 조기 진단, 저진행군에서는 유의미한 개선 효과 확인
  • 안전성: 반복 투여 포함, 중대한 이상 반응 미확인 → 안정성 입증

이는 "전체 실패는 아님"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는 임상 전체 실패 수준으로 반응 중입니다.

 

📉 시장 반응과 주가 흐름 분석

  • 2024년 12월: 톱라인 발표 → 전체군 미충족 → 주가 급락
  • 2025년 4월 현재: 주가는 약 3,990원, 시가총액 1,123억 수준

현재 시총은 임상 실패만을 반영한 수준으로, CMO 사업을 영위 중인 켐온과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기업이라는 가치는 거의 반영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 유사 기업 사례 비교 (ALS 치료제)

기업 치료제 결과 요약 FDA 대응 시사점
BrainStorm NurOwn 1차 실패, 하위군 효과 조건부 승인 신청 → FDA 거절 전체 실패 시 승인 어려움
Helixmith Engensis 유효성 불충분, 안전성 확보 보완 임상 진행 보완 필요
Neuvivo NP001 하위군 생존 연장 후속 임상 추진 하위 분석 기반 가능성 존재

 

🔁 기술이전 가능성 점수화

항목 점수(5점 만점) 설명
임상 유효성 2 전체 실패, 하위군 일부 성과
안전성 4 중대한 부작용 없음
시장성 3 희귀질환 + 비급여 고가약 가능
기술 플랫폼 3 줄기세포 치료제 기반
재무건전성 2 영업손실 지속
이전 이력 1 기술이전 전례 없음

총점: 15점 / 30점 — ‘중간 수준’

 

📊 현재 기업가치 vs 시가총액

  • 주가: 3,990원
  • 발행주식수: 32,870,376주
  • 시가총액: 약 1,123억 원
  • 자본총계 (2024): 1,174억 원
  • BPS: 1,936원 → PBR 약 2.06배

시총이 자본총계보다 낮아진 상태로, 시장은 임상 실패에만 집중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하위군 데이터와 안전성 확보 등은 재평가 여지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종합 평가 및 투자 의견

코아스템켐온은 전체 임상 결과만 보면 ‘실패’로 간주되지만, 하위 분석에서는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안전성도 입증되었습니다.

지금 주가는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기업으로서의 프리미엄이 전혀 반영되지 않은 저평가 상태이며, FDA와의 사전 협의, 후속 임상 설계 발표, 기술이전 논의 등 **하나의 이벤트만 있어도 반등 가능성은 충분**합니다.

따라서 지금은 베팅이 아니라 기다림의 구간이며, 정보 노출 여부에 따라 ‘선제적 저가매수 전략’도 고려할 만한 구간으로 판단됩니다. 특히 FDA와 pre-NDA 협의 착수나 기술이전 MOU/LOI 체결 검토 등 회사의 후속 대응이 중요한 시점으로 판단됩니다.

투자자분들과 루게릭 환우분들에게 좋은 소식이 있기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

 

반응형